본문 바로가기

Photo/2022년

2022년 2월 25일 고창여행 2. 판소리박물관

토담길.

어디서 보아도, 언제 걸어보아도, 어느 시절에 보아도 푸근함이 가득 배어 있는 길이

바로 토담길이 아닐까? 

  • 고창에는 판소리박물관이 있다.

    신재효는 조선 고종 때의 판소리 작가(1812~1884). 자는 백원(百源). 호는 동리(桐里). 종래 계통 없이 불러오던 광대 소리를 통일하여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끼 타령>, <적벽가>, <가루지기타령>의 여섯 마당으로 판소리 사설을 정리하였고, 판소리 이론의 정립에도 힘썼다.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펌-

한민족의 정기가 살아 있는 판소리를 알고 싶다면 박물관에 들어가 보시길 권한다.

운이 좋으면 판소리를 배우고 즉석에서 불러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커다란 방에 제자들이 모여 앉아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며 소리를 익히고 있다.

댕기머리를 한 어린 남녀가 함께 앉아 소리를 익히는 모습이 이채롭다.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가르침을 배우며 자란 내게는 더욱 그러하다.

내가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경상도 안동지역은 남녀유별이 매우 엄격하지만,

전라도 지역에 오면 성별, 나이로 차별함이 다소 느슨함을 알 수 있다.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였던 유교를 지켜야 했던 사람들과

지배체제에서 밀려나 귀양과 유배의 형식으로 멀리 떠나와 살았던 사람들의 다른모습이었을까?

동리는 신재효선생의 호.

신재효(申在孝, 1812~1884)는 전라북도 고창 출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字)는 백원(百源), 호(號)는 동리(桐里)이다. 신재효의 선대(先代)는 서울에 살았고 대대로 하급 무반직을 지냈으며, 부친 신광흡(申光洽, 1771~1844)이 서울에서 고창의 경주인(京主人)을 하다가 고창으로 옮겨가 고창의 향리가 되었고 또한 관약방(官藥房)을 운영하였다. 신재효는 고창에서 태어나 이방(吏房), 호장(戶長) 등 고창의 향리(鄕吏)를 역임했다. 1876년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한 진휼을 위해 돈을 기부하였으며, 경복궁 중건에 원납전을 내어 1877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와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의 명예 직함을 받았다.

신재효는 한문을 배워 몇 편의 한시(漢詩)를 남겼으나 무엇보다 그의 두드러진 문학·예술 활동은 판소리 관련 활동이다. 신재효가 판소리 사설 정리와 개작 등 판소리 관련 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것은 향리의 직책에서 물러난 1860년 이후로 추정된다. 개인적인 취향 외에 그가 판소리에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된 계기로는 판소리가 발달한 호남 지역에서 생장하였다는 것과 특히 전라도 감영(監營)과 각 군현(郡縣)의 이서(吏胥)들이 관청에서의 각종 연회(宴會) 때 판소리 창자들의 선발과 초청에 관여한 풍속을 들 수 있다. 나아가 그의 향리로서의 신분 의식도 판소리 사설 정리와 개작 활동의 계기가 되었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의 밑에서 지방의 행정 실무를 맡은 향리는 양반 계층 보다 낮은 신분이어서 관직 진출과 사회적 대우 등에서 큰 차별을 받았으며, 신재효가 향리 생활을 했던 19세기 후반기는 부정부패와 관련하여 향리 계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급격히 악화된 때였다. 신재효는 이러한 향리에 대한 신분 제약과 사회적 인식에서 유발된 심리적 갈등을 판소리를 매개로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재효 [申在孝]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편))